[뉴스큐브] 청와대 경제수석에게 듣는 2020 한국경제<br /><br /><br />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성적표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2.0% 성장을 기록했는데요.<br /><br />당초 시장 전망보다는 호전된 수치이지만 10년 만에 가장 낮습니다.<br /><br />새해에는 경기 반등에 대한 기대가 큰데요.<br /><br />올해 경제 성장에 대한 전망은 어떨지 들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.<br /><br />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 모셨습니다.<br /><br /> 지난해 4분기 경제성장률이 반등하면서 2% 성장률에는 도달을 했습니다. 아슬아슬한 턱걸이인데다, 10년 만에 가장 낮은 경제 성장세이기도 한데요. 어떻게 평가하십니까?<br /><br />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미친 2009년(0.8%) 이후 10년 만에 가장 낮은 경제 성장세입니다. 일각에선 10년마다 경제위기가 찾아왔던 역사적 경험에 비춰볼 때 올해 경제위기가 재현될 수 있다는 견해도 있는데요. 이에 대해선 어떻게 보시는지요?<br /><br /> 사실 미중 무역분쟁, 일본의 수출규제 등 지난해 대외 경제여견이 상당히 안 좋았잖아요. 이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의 결과라고 볼 수 있을텐데, 정부 주도로 성장률을 높인 것이고 민간의 위축은 여전하다는 진단도 있거든요?<br /><br /> 최근 문재인 대통령도 올해 경제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친 바 있는데요. 경제가 나아질 것이라고 보는 근거는 무엇인지요?<br /><br /> 하지만 이번달 (1일부터~20일까지) 수출 상황을 보면, 전년대비 소폭 마이너스에 머물러 있습니다. 이런 점에서 볼 때 정부의 기대보다 수출 반등세가 견고하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. 올해 수출 흐름은 어떻게 전망하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하지만 올해 경제 성장을 마냥 기대하기엔 현실적인 제약도 많습니다. 어떤 점들을 예상하고 계시고 또 어떻게 준비하고 계시는지요?<br /><br /> 경제 얘기에서 일자리 문제를 따져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. 일자리수석이 따로 계십니다만, 경제수석을 모신 만큼 일자리 문제도 여쭙겠습니다. 지난해 취업자가 30만 1천 명 늘었습니다. 일단 총량적 면에서는 양호하단 평가가 나오는데요. 세부 구성을 보면 나랏돈을 들인 노인 일자리가 대부분이라는 비판도 있습니다. 이에 대해선 어떻게 보시는지요?<br /><br /> 일자리 문제만큼이나 국민들의 삶과 직접 연관된 문제가 바로 부동산 문제입니다. 특히 문재인 대통령께서는 신년 기자회견에서 집값이 지나치게 많이 뛴 곳은 원상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하셨는데요. 정확히 원상회복의 의미가 무엇인지요?<br /><br /> 지난주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이 '부동산 매매허가제'를 언급해 논란된 바 있는데요. '부동산 매매허가제'를 정부 안에서 검토했던 바가 있는지요?<br /><br /> 일각에서는 매매허가제 카드가 사라진 것은 아니다라는 관측도 내놓고 있습니다. 앞으로 '부동산 매매허가제'를 검토하거나 혹은 시행될 가능성은 없다고 봐도 되겠습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